3D기계설계

3D기계설계

훈련직종 정의

첨단기계설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D/3D CAD, 3D프린팅 등 다양한 설계 및 가공 실무 능력을 습득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꼭 필요한 기능인을 양성하는 직종

교육훈련 목표

정밀기계가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융합기술 분야를 이끌어가는 차세대 기계 설계 전문가 양성

교과과정 및 교육내용

교과목명 학습내용 주요내용
기계요소

요구기능 파악하기

치수공차 검토하기

표면조도 검토하기

기하공차 검토하기

요소설계에서 요구하는 기능과 성능에 적합한 공차를 적용하고 검토하기
기계재료

요소부품재료파악하기

최적요소부품 재질 선정하기

요소부품 공정 검토하기

열처리 방법 결정하기

요소부품의 요구기능과 특성을 고려하여 재질 검토하기
기계제도

체결요소설계

동력전달요소설계

치공구요소설계

유압요소설계

각 기계 구성품의 체결을 목적으로 강도, 강성, 경제성, 수명을 고려하여 체결요소 설계하기
CAD

2D도면작업

3D형상모델링작업

3D형상 모델링 검토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도 규칙에 따른 2D 도면을 만들고 확인하여
가공 및 제작에 필요한 2D도면 정보 도출하기
기계공작법

선반 단순형상작업

선반 홈 테이퍼작업

밀링 기본작업

밀링 엔드밀가공

선반가공에서 제품의 형상특성에 따른 기준면을 선정하고 내·외경 홈가공, 테이퍼 가공하기
산업안전보건

안전관리사항 확인하기

산업안전 준수하기

전기안전 준수하기

소방안전 준수하기

공작기계 설치와 정비, 운용 시 산업, 전기, 소방 안전에 대해 기준을 정하고 현장에 적용하기
정밀측정실기

작업계획 파악하기

측정기 선정하기

기본 측정기 사용하기

기본측정기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능력으로 기계 가공된 부품을 바르게 측정하기
3D프린팅

3D 모델링(넙스, 폴리곤)

3D프린터 HW 설정

제품 출력

3차원 형상을 데이터로 생성하기 위하여 넙스 방식 또는 폴리곤 방식의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 편집, 수정하기

취득가능 자격증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3D프린터운용기능사
  • 컴퓨터응용밀링기사

취업가능 분야

  • 금형설계 및 제조업체
  • 산업용로봇 제조업체
  • 공작기계산업 제작업체
  • 장치산업부품 생산업체
  • 로봇산업부품 생산업체교과과정 및 교육 내용
KEAD 홈페이지 관리시스템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전체메뉴

직업능력개발 소개

직업능력개발원

맞춤훈련센터

디지털훈련센터

발달장애인훈련센터

입학안내

게시판